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안전 지킴이

예초기 사용사고 예방을 위한 지침

1) 예초날 보호덮개나 각 부분의 부착상태를 미리 확인 점검하고
2) 예초기 사용시 칼날이 돌에 부딪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3) 작업 중 주위에 사람을 접근시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예초기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첫 번째 : 안전한 제품인지를 점검하라
추석을 앞두고 예초기 사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상당수의 예초기가 안전기준에 미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제품을 구입하거나 사용할 때 각별한 주의를 요합니다.

(예초기를 사용할 때에는 멀리 떨어져서 작업하세요)

지난 2007년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이 시판중인 휴대용 예초기 제품 17가지를 수거해 충격시험을 실시한 결과 안전성 인증마크인 KPS 인증을 받지 않은 5개 모델은 날이 깨지는 등 안전기준에 미달한 것으로 드러났던 적이 있습니다. 또 11개 모델은 제품안전을 위한 경고 문구나 제조국가, 회사이름 등에 대한 표시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기본적인 표시사항을 아예 표기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따라서 휴대용 예초기를 구입할 때에는 반드시 제품에 안전인증(KPS) 마크가 있는지 확인하고, 제품의 날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고 날 끝이 둥근 모양인 제품을 선택하는 사전 점검이 매우 중요합니다.


* 예초기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두 번째 : 보호장구를 착용하라

또 예초기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취급 주의사항을 확인하고, 안면 보호구 등 보호장구를 착용하며, 정해진 용도 이외에는 쓰지 않도록 하는 등 안전수칙을 지켜야합니다.

 

1) 안면 보호구 : 잘려진 풀과 나무의 부스러기, 흙과 돌 등이 얼굴이나 눈으로 튈 경우 얼굴을 보호해 줍니다.
투망형과 플라스틱 형이 있습니다.

2) 귀 마 개 :
예초기의 소음은 상당히 큰 편입니다. 장시간 소음에 노출이 되면 난청이나 이명의 위험이 있으므로,
완전 밀폐형의 전용 귀마개가 필요합니다.

3) 방진 마스크 :
예초기에서 배기가스가 배출되며 매캐한 유독 물질이 분진과 함께 코로 흡입되는 것을 막아
줍니다.

4) 안전화, 발목, 무릎 보호 장비

 

'산업안전 > 안전 지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소독제  (0) 2020.06.19
소화기의 사용법 및 관리요령  (0) 2009.10.15
용도별 소화기 및 종류별 특징   (0) 2009.10.12